5·18기념재단 “기념식에 총 든 군인 유감”…보훈부 “경호 인력”

헌화 도우미 군인·경찰 주장 사실 달라…국립임실호국원 의전단 민간인인

18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장 인근에서 대통령경호처 소속 인원들이 드론과 저격수를 탐지하고 대응하기 위해 경계 근무를 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18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장 인근에서 대통령경호처 소속 인원들이 드론과 저격수를 탐지하고 대응하기 위해 경계 근무를 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5·18 기념재단은 18일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 열린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직후 보도자료를 내고 “기념식에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재단은 “5·18은 계엄군의 살인 진압에 맞서 죽음으로 민주주의를 지켜낸 사건”이라며 “묵념할 때 죽은 군인을 위한 묵념가가 사용되고 헌화도 제복을 입은 군경이 돕는 것은 문제”라고 했다.

일부 언론은 5·18 기념식 묵념 때 ‘늙은 군인을 위한 노래’를 사용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보훈부는 기자단에 설명자료를 보내 “행사에 사용된 ‘묵념곡’은 정부의전편람에 명시된 묵념곡으로 모든 정부 기념식 국민의례에서 사용되고 있다”며 “최근 5년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도 사용됐다”고 설명했다.

보훈부 해명대로 올해 기념식은 과거 기념식과 전혀 다르지 않은 형식으로 치러졌으나 12·3 비상계엄을 계기로 이러한 문제의식을 느꼈다는 게 재단 측의 설명이다.

재단은 또 “기념식 무대 좌우에 무장한 군인을 배치했는데 비상계엄 때 국회에 출동한 계엄군과 비슷한 복장이었다”며 “5·18 가해자인 군인이 무기를 들고 서 있는 기념식을 누가 무엇때문에 준비한 것이냐”고 비판했다. 아울러 “이주호 권한대행 기념사는 5·18 헌법전문 수록 등 5·18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그 어떤 내용도 없었다”며 “이러한 이유로 강력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보훈부는 “헌화 도우미는 보훈부 소속 국립임실호국원 의전단으로, 군인이나 경찰이 아닌 민간인”이라고 해명했다.

보훈부는 “재단이 지적한 ‘무장 군인’은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 행사에 참석한 주요 인사를 경호하기 위한 경호 인력이었다”며 “경호는 예년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보훈부는 이날 ‘함께, 오월을 쓰다’를 주제로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을 열었다.

이번 기념식에는 5·18유공자, 시민, 정부 인사 등 2500여명이 참석했다. 소설 ‘소년이 온다’의 실제 주인공 문재학 열사, 5·18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를 소재로 만든 공연 ‘영원한 기억’과 518번 시내버스 노선을 따라 5·18 정신을 되새기는 기념 영상 ‘내일을 쓰다’ 등이 무대에 올랐다. 기념식은 노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끝으로 마무리했다.

정충신 선임기자
정충신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