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등 화폐

달러 등 화폐

연합뉴스

미중 관세전쟁 속 협상카드 가능성

지난 몇년 동안 미국 국채 보유량을 꾸준히 줄여온 중국이 미중 관세 전쟁이 격화하기 이전인 올해 3월 미 국채 보유 순위 3위로 내려온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8일 미국 재무부 자료를 인용해 3월 외국의 미 국채 보유량이 3개월 연속 증가해 사상 최고치인 9조500억 달러(약 1경2680조 원)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이 가운데 중국 보유량은 7654억 달러(1072조 원)로 전월보다 189억 달러(약 26조 원) 줄어 1∼2월 보유량 증가세에서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로써 중국은 미국 국채 보유량 순위에서 3위로 내려갔고, 3월 미 국채 보유량을 290억 달러(40조 원) 늘린 영국(총 7793억 달러·1092조 원)이 2위로 올라섰다. 2019년 말 중국을 제치고 미국 국채 최대 보유국이 된 일본이 올해 3월에도 1조1300억 달러(약 1583조 원)의 보유량으로 1위를 지켰다.

중국의 미 국채 보유량은 2013년 11월 1조3160억 달러(1844조 원)로 정점을 찍은 뒤 꾸준히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다.

2017년 말 1조1840억 달러(1659조 원), 2018년 말 1조1240억 달러(1575조 원)로 꺾인 이후 2022년 말에는 8670억 달러(1127조 원), 2023년 말 8160억 달러(1143조 원)로 줄었고, 작년 말에는 7590억 달러(1063조 원)까지 떨어졌다.

다만 SCMP는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 감소 발표가 미중 무역 전쟁에 대응해 중국이 국채 자산을 협상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와도 맞물려 있다고 짚었다.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후 미 국채 시장이 출렁이자 혼란의 배후에 중국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이 나온 것도 이런 우려와 무관치 않다.

중국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을 역임한 위융딩 사회과학원 학부위원은 지난 15일 중국 매체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리스크가 커진 상황에서 미국 달러 자산, 특히 국채를 보유한 외국 투자자는 미국 부채의 사실상 디폴트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수 있다며 “중국은 해외 자산 안전을 지키기 위해 반복적인 시나리오 계획을 통해 일련의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한 바 있다.

이예린 기자
이예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