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음극재 시장 점유율. SNE리서치 제공.
2024년 음극재 시장 점유율. SNE리서치 제공.

SNE리서치 조사…한·일, 중국 과잉생산·저가수주 경쟁에 고전

“중국 업체 강세 이어질 전망”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음극재 시장을 중국 업체들이 사실상 독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내 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은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21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리튬2차전지 음극재 수요량(사용량)은 197만t이었으며, 음극재 출하량은 211만t 수준을 기록했다. 2023년과 비교하면 수요량과 출하량은 각각 26%, 25%씩 늘어난 수치다.

전체 음극재 출하량 중 인조흑연은 176만t으로 약 83%를 차지했고, 천연흑연은 29만t(14%), 실리콘 음극재는 4만1000t(1.9%)으로 집계됐다.

출하량 상위 10곳은 모두 중국 업체였다. 출하량 기준 1위는 BTR로, 총 43만2000t 이상을 출하했다. 이어 샨샨(34만t), 신줌(21만3000t), 상타이(20만8000t), 카이진(15만8000t) 등의 순이었다.

상위 10곳의 점유율은 약 84%다.

한국과 일본의 음극재 업체들은 작년 중국 업체들의 과잉 생산과 저가 수주 경쟁에 밀려 고전했다.

포스코퓨처엠의 경우 2020년 6위에서 2021년 8위, 2022년과 2023년 10위로 밀려난 뒤 지난해에는 11위(2만7200t)에 그쳤다.

포스코퓨처엠은 지난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인한 수요 둔화와 미국 정부의 중국산 흑연 음극재 공급 유예로 타격을 받았으며, 중국산 흑연 제품과의 가격 경쟁에도 밀려 부진했다.

일본 레조낙도 중국과 말레이시아에서 철강업체용 흑연 전극 생산을 중단하고 생산라인을 축소했다. 리튬이온배터리(LIB)용 음극재 흑연에서도 사업 확대에 소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배터리에서 음극은 리튬이온을 삽입 및 방출해 전류가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음극재에 있는 리튬이온이 전해질을 통해 양극재로 이동하고, 리튬이온과 분리된 전자는 양극과 음극을 잇는 도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기 에너지가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음극재는 배터리의 충전 속도와 수명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음극재는 전기차 주행거리, 충전시간 향상과도 밀접하게 연관이 있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올해도 중국 인조흑연의 강세 속에 BTR, 샨샨 등 중국 ‘톱6’ 음극재 업체의 사용량 역시 지속적으로 유지 또는 강세를 이어갈 전망”이라며 “향후 신규 실리콘 음극 소재가 확대되고 나트륨이온 배터리용 하드카본 개발 역시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지영 기자
최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