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5∼17일 캐나다 중서부 앨버타주의 카나나스키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이재명 대통령이 참석하기로 한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아직 외교·안보 진용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예측불허 행태를 생각하면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세계 정세의 대격변기임에도 계엄·탄핵 사태로 반년 이상 정상외교가 중단됐음을 고려하면, 정상외교 정상화는 한시가 급한 문제다. 대한민국 민주주의 회복력을 과시할 기회도 된다. 캐나다와 미국·영국·독일·일본의 새로운 지도자들이 자유 진영의 진로를 함께 논의하는 첫 행사라는 점에서도 동참의 의미가 크다.

실질적으로 가장 화급한 문제는, 미국 측의 오해를 푸는 일이다. 워싱턴에서는 이재명 정부 출범을 단순 정권 교체 차원을 넘어 체제 전환으로 규정하는 기류가 뚜렷하다. 트럼프 측 마가(MAGA) 인사들은 “한국 대선에서 공산주의자들이 승리했다”고 선동하고, 언론에서도 ‘가장 좌파적인 정부가 들어섰다’(월스트리트저널 사설)고 평한다. 백악관이 6·3 대선 논평 때 “중국 영향력 우려”를 적시한 것이나 6일 정상통화 후에 공식 발표를 하지 않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자칫 잘못하면 이재명·트럼프 첫 대면 때 ‘남아공 대통령 봉변’ 같은 사태가 재발할 수도 있다.

이 대통령은 “중국과 대만이 싸우든 말든 무슨 상관” “셰셰” 발언 등에 대해 진솔하게 해명하고, 한미동맹이 한국 외교의 중심축임을 재확인해야 한다. 이런 연장선에서, 오는 24∼25일 네덜란드에서 열리는 나토(NATO) 정상회의 참석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G7과 나토의 결속력이 예전에 비해 약해졌지만, 자유민주주의 진영의 대표국가 모임이라는 본질엔 변함이 없다. 동맹 및 우방과의 연대와 신뢰를 강화해야 중국은 물론 북한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발언권과 협상력을 더욱 키울 수 있을 것이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