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엄·탄핵 후폭풍에 이은 대선 패배로 보수 진영이 위기에 빠졌다. 국민 다수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 국민의힘이 위기를 자초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11일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4~7일 만 18세 이상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웹 조사(응답률 40.2%)에서 응답자 3명 중 1명은 12·3 계엄 사태(36%)를 보수 위기의 원인으로 꼽았다. 윤석열 정부를 둘러싼 보수 정치인의 내분(20%)과 윤석열 정부의 실정(19%), 극우 강경 보수 노선(11%), 대선 후보 단일화 불발(6%)이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응답자 중 진보층(39%)과 보수층(31%)을 가리지 않고 계엄을 1순위 원인으로 꼽았지만, 2순위부터는 의견이 다르게 나타났다. 내분(26%), 실정(14%), 단일화 불발(10%) 등을 꼽은 보수층은 분열에 방점을 찍었다. 반면 진보층은 실정(25%), 극우 노선(15%)에 무게를 뒀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 과정에서 불거진 ‘후보 교체 파동’도 악재가 됐다는 평가다. 대선 경선에 대한 응답자 평가(10점 만점)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경선은 5.4점이었지만, 국민의힘 경선은 3.1점에 그쳤다. 보수층에서도 ‘잘못했다(0~4점)’는 응답이 47%로, ‘잘했다(34%)’는 응답보다 많았다.
국민들은 덫에 걸린 보수 진영 재건을 위해서는 윤 전 대통령 등 계엄 관련자와의 절연(26%)이 시급하다고 봤다. 계파 청산(15%), 아스팔트 우파 및 보수 유튜버 단절(15%), 기득권 정당 이미지 탈피(14%), 청년 리더십 발굴(9%), 경쟁력 있는 핵심 어젠다 구축(8%)이 뒤를 이었다.
보수가 지향해야 할 핵심 어젠다의 방향으로는 경제 위기 극복에 초점을 둔 능력 있는 보수(38%), 법과 질서를 지키는 전통적 보수(32%), 사회적 약자에 손을 내미는 따뜻한 보수(13%), 신산업과 신문화에 대응하는 젊은 보수(9%)가 제시됐다.
다만, 여전히 적지 않은 보수층이 윤 전 대통령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어 보수 재건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6·3 대선에서 김문수 전 국민의힘 후보를 뽑았다는 응답자들은 윤 전 대통령의 국정 운영(10점 만점)에 대해 5.3점을 줬다. 특히, ‘잘했다(6~10점)’는 응답(47%)이 ‘잘 못 했다(35%)’ 응답보다 12%포인트 더 많았다. 다만 전체 응답자 기준 국정 평가 점수가 낙제점 수준인 2.6점이고, ‘잘못했다(0~4점)’는 응답이 71%, ‘잘했다’는 응답은 19%에 그쳤다.
한편, 이번 조사는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웹조사 형태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40.2%(4042명에게 설문 발송해 3728명 접촉. 그 중 1500명 응답 완료)로 4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2.5%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를 참조하면 된다.
노기섭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1
- 좋아요 8
- 감동이에요 1
- 화나요 8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