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연합뉴스
대통령실, 연합뉴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지난 10일 오전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3대 특검법(내란 특검법, 김건희 특검법, 채 상병 특검법)에 대해 “정치 보복으로 비칠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임 윤석열 정부가 임명한 인사들과 이 대통령과의 불편한 동거 형태가 그대로 드러났다는 평가다.

11일 채널A는 국무회의에 참석했던 한 인사의 전언을 인용해 “이 위원장뿐 아니라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했던 국무위원들 중 다수가 특검법의 문제점을 지적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보도에 따르면 김석우 법무부 차관은 3개 특검법의 위헌성에 대해 10분 넘게 조목조목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무회의 참석자는 이 대통령은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들은 후 “참고하겠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같은 날 오후 이지혜 상근부대변인 명의로 논평을 내 이 위원장을 비판했다.

이 부대변인은 “언론 보복의 장본인이 정당한 특검 수사를 정치 보복으로 매도하다니 실로 뻔뻔하다”면서 “이진숙 방통위원장은 내란을 일으킨 윤석열의 언론 보복 위원장이다. 국정이 무너지는 동안 국민 혈세로 방송 장악에 박차를 가했던 이 위원장이 정치 보복을 입에 담을 자격이 있는가?”라고 지적했다.

이 부대변인은 이어 “3대 특검은 내란, 김건희의 국정농단, 윤석열의 수사 외압을 밝히기 위한 것”이라며 “이 모든 것을 눈감아주는 게 용서이고 화해인가”라고 비판했다.

임정환 기자
임정환

임정환 기자

디지털콘텐츠부 / 기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3
  • 좋아요 58
  • 감동이에요 4
  • 화나요 19
  • 슬퍼요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