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 정년(60세)을 넘긴 취업자가 처음으로 700만 명을 돌파했다. 고용률도 48%를 넘어 ‘일하는 노인’이 두 명 중 한 명 꼴로 늘었다. 반면 일자리가 절박한 청년층 고용률은 13개월 연속 하락세다. 고용시장의 급속한 고령화가 크게 우려되는 실정이다. 11일 통계청의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1년 전보다 37만 명 증가한 704만9000명, 취업자 비율인 고용률은 48.3%로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24%가 고령층이다. 일하는 노인의 증가로 지난달 전체 취업자는 24만5000명 늘었지만, 연령대별로는 30대를 제외한 20·40·50대 모두 감소했다. 특히 좋은 일자리를 상징하는 제조업과 민생 경기를 지탱하는 건설업은 취업자 감소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고용의 왜곡이 심각하다.
일하는 고령층의 증가는 노후 소득을 자녀에게 기대지 않고 스스로 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그러나 이들의 일자리는 대부분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 등 복지 성격이 강한 정부의 직접 일자리 사업에서 나온다. 계약 기간이 1년 미만인 저임금 일자리다. 고용의 질이 떨어지는 것이다. 여기에 제조업 취업자 감소 속에서 청년 일자리 창출은 계속 부진하다. 고용의 고령화는 전체 인구의 고령화를 반영하는 측면도 있지만, 본질적으로는 경제가 성장 동력을 잃고 노쇠화하는 데 따른 저성장의 결과다.
청년 일자리 창출이 급선무다. 미래를 이끌 청년이 활발하게 일하는 사회가 돼야 경제가 활기차게 돌아가고, 제로성장을 돌파할 수 있다. 청년 고용과 상충하는 법정 정년의 단계적 연장(65세) 공약까지 제시돼 있는 실정이다. 청년 고용 절벽이 더 높아지고, 고령층 취업자만 더 늘어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된다. 인공지능(AI)과 관련한 첨단산업을 비롯해, 조선·원전·방산 등 미래 산업 육성이 절실하다. 청년 일자리를 만들지 못 하면 나라의 미래도 없다.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