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NSC에도 야당 대표 시절 입던 노란색 민방위복 입어

과거 “민방위복 바꾸는 것보다 급한 사안 많은데 안타깝다”

청록색 민방위복 ‘건곤감리’ 문양 무속 영향 논란 일기도

이재명 대통령이 12일 노란색 민방위복을 입고 이태원 참사 현장을 방문해 희생자들을 추모해 눈길을 끌었다. 이 대통령은 같은 날 노란색 민방위복을 입은 채 서울 한강홍수통제소도 찾았다. 윤석열 정부의 ‘청록색 민방위복’을 사실상 거부한 것으로 해석된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방위복은 1975년부터 2005년까지는 카키색을, 2005년부터 2023년까지는 ‘기능성과 실용성 보완’을 이유로 노란색 색상을 사용했다. 윤석열 정부는 ‘시인성 강화’를 이유로 녹색으로 색상을 변경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더불어민주당 대표 신분 등으로 재해 현장 등을 방문할 때도 청록색 민방위복을 착용한 적이 없다. 실제 이 대통령은 지난 3월29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산불 현장을 찾았을 때도 홀로 노란색 민방위복을 착용했다.

지난 3월 29일 경북 영덕군 산불현장에 동행한 민주당 의원을 비롯해 지방자치단체장 등 공무원들도 청록색 민방위복을 착용했지만, 이 대통령만은 노란색 민방위복을 입었다. 연합뉴스
지난 3월 29일 경북 영덕군 산불현장에 동행한 민주당 의원을 비롯해 지방자치단체장 등 공무원들도 청록색 민방위복을 착용했지만, 이 대통령만은 노란색 민방위복을 입었다. 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당선 후인 지난 5일 NSC 회의에도 노란색 민방위복 차림으로 참석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나는 맞는 옷이 없어서 맞는 것을 입다 보니 이것(노란색)을 입은 것”이라며 “그냥 있는 것을 입으라”고 말했다.

그러다 보니 당일 회의에는 노란색과 청록색 민방위복을 입은 참석자들이 섞였다.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등 일부 지자체장들은 청록색을 착용했지만, 이 대통령과 강훈식 비서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등 정부 관계자들은 노란색 민방위복을 입었다.

이 대통령이 청록색 민방위복을 입지 않는 이유는 지난 2022년 9월 7일에 올린 엑스 게시물에서 유추할 수 있다. 민주당 대표였던 이 대통령은 당시 엑스를 통해 ‘청록색 민방위복 볼멘소리 나오는 까닭’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공유하며 “민방위복 바꾸는 것보다 더 급한 민생 사안이 많은데 참으로 안타깝다”고 전했다.

당시 민주당은 “을지연습 기간에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 필수요원 3500명의 민방위복 교체를 위해 약 1억 원의 예산이 소요됐다고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일각에서는 윤석열 정부가 사용한 민방위복에 적용된 건곤감리 디자인을 두고 무속 논란을 제기하기도 했다. 평화와 시민보호를 상징하는 국제민방위 마크에 태극기 건곤감리를 활용한 디자인을 굳이 적용할 이유가 없다는 이유였다.

임정환 기자
임정환

임정환 기자

디지털콘텐츠부 / 기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1
  • 좋아요 4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2
  • 슬퍼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