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달 3단계 DSR 앞두고 5월 거래량 7000건 돌파
노원·성동·강동 등 거래량 급증…6월 거래량도 이미 1000건 이상
추가 대출규제를 앞두고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특히 강북 등 비강남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급증했다.
15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14일 신고 기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7008건으로 올해 들어 두 번째로 많은 거래량을 기록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지정된 강남권 아파트 거래가 한 달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데 이어 다음달 시행되는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 등 추가 규제를 앞두고 비강남권에 매수세가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울 25개구 가운데 2곳(도봉구, 동대문구)을 제외한 23개 구의 5월 신고 건수는 이미 4월 거래량을 넘겼다. 현재까지 5월 아파트 거래 신고 추이는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 3월 동기간 거래 신고건(8136건)에는 미치지 못했다.
5월 서울에서 거래량이 가장 많은 곳은 공공기관 매수가 많았던 구로구를 제외하고 노원구가 511건으로 최다를 가장 높았다. 구로구에서는 636건이 신고됐으나 이 가운데 354건은 서울시 청년안심주택으로 공급되는 ‘세이지움 개봉’ 준공에 따른 공공기관 소유권 이전 건이다.
노원구의 뒤이어 성동구가 484건으로 높았고 강동구 453건, 강서구 438건, 영등포구 432건 순으로 거래량이 많았다.
지난 4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지정으로 거래량이 급감했던 강남권은 그 기저효과로 증가폭이 뚜렷했다. 서초구가 4월 52건에서 5월 123건으로 137% 늘었고, 강남구(109→216건) 98.2%, 송파구(130→248건) 90.8%, 용산구(40→69건)가 72.5% 늘어나는 등 강남권 4곳이 나란히 증가율 1∼4위를 차지했다.
한편, 정부는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과 강동구·동작구·양천구 등 준상급지에서도 뚜렷해짐에 따라 추가 규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다음달 3단계 DSR 시행과 함께 서울지역 내 유주택자 대출 중단 등 고강도 대출규제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며 토지거래허가구역과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 확대 지정이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부동산 전문가들 사이에선 규제 강화 전 ‘막차 수요’로 인해 이달까지 거래량이 급증할 것으로 보고 있다. 6월 보름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이미 1133건이 신고됐다.
신재우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