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탄즈 이어 두번째로 큰 핵시설

러 지대공미사일 시스템이 보호

고농축 우라늄 대규모 보관 추정

미국이 벙커버스터 투입 여부를 저울질하며 추가 파괴에 나설 이란의 핵 시설은 포르도가 꼽힌다. 포르도 핵 시설은 나탄즈에 이어 이란에서 두 번째로 큰 우라늄 고농축 시설로, 산비탈 아래 지하 80m 깊이에 묻혀 있어 외부의 접근 및 파괴가 어려운 곳으로 알려졌다.

17일(현지시간) CNN 등에 따르면 이란 중북부 산악지대에 건설된 포르도 핵 시설은 수도 테헤란에서 160㎞, 이슬람 성지 곰에서 32㎞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인적이 드물 뿐 아니라 험준한 산악지대 밑 80m 깊이에 묻혀 있어 접근 자체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평소 이란 혁명수비대와 러시아의 지대공미사일 시스템의 보호를 받는 등 이란 정부 내에서도 기밀 시설로 꼽혀왔다.

포르도에는 우라늄을 고순도까지 농축하는 데 사용되는 고성능 원심분리기가 갖춰져 있다. 크기는 최대 3000개의 원심분리기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알려졌다. 또 저농도 농축 우라늄이 주로 보관된 나탄즈와 달리 포르도에는 핵무기를 개발할 수 있는 고농도 농축 우라늄이 대량으로 보관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앞서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 2023년 3월 이곳에서 83.7% 순도로 농축된 우라늄이 발견됐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는 핵무기 제조에 필요한 농축 농도인 90%에 근접한 수치다. 이곳은 베일에 감춰져 있다가 지난 2009년쯤 미국 등에 알려졌으며 이곳의 핵물질로 단 3주 만에 핵탄두 9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분석이 뒤이어 나오기도 했다.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나탄즈의 지하 농축 시설은 깊이 8m 정도로 추정되는 데 반해 포르도는 80∼90m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단단한 암반 아래에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건설돼 이스라엘이 보유한 공습 무기로는 파괴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분석이 많다.

이에 따라 미국이 이란의 핵 시설 파괴를 위한 벙커버스터를 지원할 경우 포르도를 노릴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미국의 초강력 폭탄인 벙커버스터 ‘GBU-57’은 GPS 기반으로 개발돼 정밀한 폭격을 할 수 있으며, 벙커와 터널 등을 정밀하게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 폭탄은 현재 미군의 B-2 스텔스 폭격기로만 운반이 가능하다. GBU-57이 도달할 수 있는 깊이가 약 60m여서 수 발로 동시에 타격해야 포르도 지하 핵 시설 파괴가 가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황혜진 기자
황혜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1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