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용주의 韓·日외교’ 첫 단추

 

李 “작은 차이 넘어서 서로 협력”

이시바 “韓日공조 세계에 도움”

취임 14일만에 韓·日정상회담

취임 14일만에 韓·日정상회담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캐나다 캐내내스키스에서 G7 정상회의 계기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캐내내스키스 = 나윤석 기자 nagija@munhwa.com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가 17일(현지시간) 한·일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 문제 등 여러 지정학적 위기에 대응해나가기 위한 한·미·일 공조를 발전시키기로 뜻을 모았다.

이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 대면한 두 정상은 지난 9일 첫 통화에 이어 양국의 협력 심화와 ‘셔틀 외교’ 재개에 대한 의지도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이시바 총리와 회담을 진행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한·일은 앞마당을 같이 쓰는 이웃집처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며 “미래지향적 관계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이시바 총리는 “국제 정세가 대단히 엄중해지고 있다”며 “양국의 협력과 공조가 지역 및 세계를 위해 더 많은 도움이 되는 관계가 되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이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는 회담에서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견고하고 성숙한 양국 관계의 기반을 조성하기로 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 “쟁점 위주로 이야기하지는 않았다”며 “과거 문제는 잘 관리해나가고 협력의 문제를 더 키우자는 말씀들이 있었다”고 전했다. 앞서 이시바 총리의 최측근인 나가시마 아키히사(長島昭久) 국가안전보장 담당 총리특별보좌관은 16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을 만나 ‘과거 합의에서 후퇴하지 말 것’ ‘양국 국민을 설득해 나갈 것’ 등 역사 문제 관리를 위한 3대 원칙을 제시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G7 회원국과 초청국이 참여하는 확대 세션에서 연사로 나서 에너지 공급망 다변화와 인공지능(AI) 혁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나윤석 기자
나윤석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1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