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가공식품, 주거비 등 생활물가 평가와 향후 주요물가 동인 점검’을 주제로 열린 2025 상반기 물가 설명회에 참석해 취재진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별관에서 ‘가공식품, 주거비 등 생활물가 평가와 향후 주요물가 동인 점검’을 주제로 열린 2025 상반기 물가 설명회에 참석해 취재진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추경 성장 기여 크고 물가에 주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

“구체적인 부동산 공급안이 수도권에서 나와야 한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재정 효율성 면에서 볼 때 ‘선택적인 지원’이 ‘보편적인 지원’보다 어려운 자영업자와 영세사업자를 돕는 데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오후 물가안정상황 운영상황 점검 기자설명회에서 “당정의 추가경정예산안 내용을 보지 못해 그에 대해 평가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원론적인 차원에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이 총재는 “추경이 성장 기여가 크고 물가에 주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김웅 부총재보는 20조 원 안팎의 추경 규모를 전제로 “올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고, 내년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0.1%포인트 정도”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최근 치솟도 있는 수도권 아파트값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부동산 공급안이 수도권에서 나와야 한다”면서 “최근 수도권 주택 가격이 올라가는 것은 기대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어 “금리가 인하 추세에 있고 몇 년 동안 공급이 부족할 것이라는 여러 기대가 작용하고 있다”며 “기대를 잘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그러면서 “한은은 경기를 보고 금리를 결정하겠지만, 과도하게 유동성을 공급함으로써 기대심리를 증폭시키는 잘못을 범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또 “수도권으로 젊은 사람들이 몰려오는 유인 요인을 어떻게 낮출지 그런 근본적인 고민이 있어야 한다”며 “장기적, 단기적인 대책이 다 같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늦어질 수 있다는 시장 관측에 대해선 “언제 어느 정도 내릴지는 가계부채, 주택시장, 외환시장 등을 보면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정환 기자
임정환

임정환 기자

디지털콘텐츠부 / 기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