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 이미 20~50기 핵탄두 보유…완벽하게 군사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시기 놓쳐

미국이 21일(현지 시간) ‘초대형 벙커버스터(GBU-57)’ 등으로 이란의 주요 핵시설 3곳에 대한 폭격을 전격 강행하면서 일각에선 다음 타깃이 북한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23일 제기된다.

다만 현재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은 이란과 달리 북한은 6차례 핵실험을 거쳐 20기에서 최대 50기의 핵탄두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군사적으로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시기를 놓쳤다는 의미다. 미국이 북핵에 대해선 협상 등 외교 수단을 통해 해결한다는 기조를 유지하는 이유로 해석된다.

미국의 이란 공습은 “이란 핵 개발은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막겠다”는 미국의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핵 문제와 관련해 영변·강선 등 주요 핵 시설을 공격할 가능성도 제기한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당시 북한에 대해서도 ‘선제 타격’을 공개 검토했던 만큼 김정은 국무위원장 등 북한 수뇌부도 바짝 긴장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군 관계자는 “가공할 위력의 전략무기로 이란 핵시설 제거에 성공한 선례가 향후 북-미 핵협상에서 대북 압박 카드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앞선 1993~1994년 북핵 위기 당시 빌 클린턴 행정부도 F-117 폭격기와 토마호크 미사일 등으로 북한의 영변 핵시설 폭격을 적극 검토한 바 있다. 하지만 전면전에 가까운 확전과 막대한 인명 피해 등을 우려해 포기했다.

그러나 북한과 이란은 상황이 달라 미국이 직접 폭격에 나설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이스라엘의 예루살렘에서 이란 주요 핵시설은 직선으로 1500~1700km가량 떨어져 있지만 서울과 북한의 영변·강선 핵시설 간 거리는 약 270km에 불과해 남한이 피해를 입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북한은 이미 최대 50기로 추정되는 핵탄두를 보유했고, 비밀 핵시설을 곳곳에 만든 데다 각종 투발 수단(미사일)까지 개발 배치한 상태라는 점도 고려 대상이다.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의 ‘후견인’ 역할을 하는 것도 북핵 해결을 어렵게 하는 지점으로 거론된다. 이번 미국의 이란 핵 시설 타격에 대해 튀르키예,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강대국은 강하게 반발하지 않고 있지만 중국은 북한 비핵화에 찬성하면서도 대북 제재 완화를 주장하고 있다. 또 우크라이나를 공격한 러시아는 북한으로부터 군인과 무기를 지원받으며 준동맹에 가까운 행보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임정환 기자
임정환

임정환 기자

디지털콘텐츠부 / 기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1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1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