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송희의 페이스골프 - 톱에서 다운스윙 전환 동작


골프 스윙 동작에서 아마추어와 프로의 가장 큰 차이는 백스윙에서 다운스윙으로 전환할 때 상체와 하체를 분리하는 트랜지션 동작일 것이다. 특히 트랜지션은 많은 아마추어 골퍼가 가장 어려워하는 동작 중 하나다.
톱에서 다운스윙 때 조금이라도 클럽의 개입이 먼저 되거나 공을 치기 위해 상체 움직임이 하체보다 먼저 시작된다면 동작의 순서는 흐트러지게 되고 올바른 다운스윙 궤도에서 벗어나 임팩트 시 공에 힘을 잘 전달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톱에서의 상·하체 분리 동작이 정확한 임팩트와 비거리를 낼 수 있는 키포인트가 될 수 있다.
사진①과 같이 분리 동작을 잘하기 위해서는 백스윙 톱에서의 충분한 어깨 회전이 필요하고 회전 상태에서 버틸 수 있는 코어의 힘이 필요하다. 회전 양이 적으면 톱에서 타이밍 적으로 여유가 없어지고 다운스윙 때 상체 움직임이 먼저 생기게 되는 것이다. 두 가지 드릴을 통해서 동작에 대한 움직임을 익혀보도록 하자.
첫 번째 앞서 설명한 것처럼 백스윙을 했을 때 충분한 회전을 해주도록 한다. 이때 등이 타깃을 바라본 상태를 유지하며 다운스윙을 시작하는데 몸의 회전(꼬임)이 쉽게 풀리지 않도록 타깃을 바라보는 시간을 조금 더 갖도록 한다(사진②).
결론적으로 다운스윙 때 상체가 먼저 덤비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톱에서의 급한 움직임을 좀 더 여유 있게 바꿔줄 수 있다. 실제 쓰이는 몸의 상체 움직임 형태는 톱을 올리는 방향으로 진행 중이며, 하체 움직임은 반대로 회전을 해주게 돼 이때 상체와 하체의 쓰임이 최대로 벌어질 수 있는 것이다.
두 번째는 백스윙 톱을 만든 상태에서 그립의 끝부분을 벽에 맞대도록 해보자(사진③). 이때 사진④의 예시처럼 톱 동작에서 다운스윙 회전을 해준다면 맞대고 있는 벽으로 인해 상체는 톱스윙 모션을 계속해서 유지할 수밖에 없고 다운스윙으로 전환하는 트랜지션에서 몸의 움직임을 극대화하며 느낄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왼 다리를 시작으로 복부, 엉덩이, 그리고 뒤쪽 근육인 광배근의 근육이 쓰이는 움직임을 느껴볼 수 있다.
골프 스윙을 하는 과정에서 올바른 신체 움직임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머리로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근육의 쓰임을 몸으로 느끼며 반복적으로 실행해주어야 한다. 특히나 경험이 부족한 아마추어들은 머리가 아닌 몸이 기억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학습은 매우 중요할 것이다.
LPGA 프로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