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박물관 소장 병풍 2개

1년동안 국내서 보존처리

미국 포틀랜드미술관 소장 ‘구운몽도(九雲夢圖) 병풍’의 보존처리 후 모습. 국가유산청 제공
미국 포틀랜드미술관 소장 ‘구운몽도(九雲夢圖) 병풍’의 보존처리 후 모습. 국가유산청 제공

미국 박물관에 잠들어 있다가 국내에 들어와 지난 1년간 보존처리를 받은 조선의 병풍들이 제자리로 돌아가기 직전 관람객에게 공개된다. 국가유산청은 한국의 기술로 보존처리를 마친 미국 포틀랜드미술관 소장 ‘구운몽도(九雲夢圖) 병풍’과 미국 덴버미술관 소장 ‘백동자도(百童子圖) 병풍’을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하는 전시인 ‘다시 살려낸 그림 속 희망’을 오는 25일부터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두 작품 모두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의 ‘국외문화유산 보존·복원 및 활용 지원 사업’으로 2023년 10월 국내로 들여와 보존처리를 진행했다.

‘구운몽도 병풍’은 김만중(1637∼1692)의 소설 ‘구운몽’ 속 주요 장면을 열 폭의 화첩에 나눠 묘사했다. 1910년경 이화학당 선교사였던 마리 엘리자베스 처치(Marie Elizabeth Church)가 한국에서 학생의 부모로부터 선물 받아 귀국길에 가져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풍을 보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과거 보수 당시 배접지로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1913년 종묘와 관련된 문서, 1933년 발간된 신문이 발견되기도 했다. 또한 국가유산청은 “소설의 내용과 달리 그림의 배치가 바뀌어 있었고, 장황(裝潢) 직물도 서양에서 수입된 직물로 교체된 상태였다”며 “그림의 배치를 바로잡고 남아 있던 원래의 직물을 참고해 병풍 제작 당시의 모습과 최대한 유사하게 복원했다”고 설명했다.

미국 덴버미술관 소장 ‘백동자도(百童子圖) 병풍’의 보존처리 후 모습. 국가유산청 제공
미국 덴버미술관 소장 ‘백동자도(百童子圖) 병풍’의 보존처리 후 모습. 국가유산청 제공

‘백동자도 병풍’은 약 100명의 아이들이 닭싸움 등 각종 놀이를 즐기며 평화롭게 노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 병풍은 1970년 미국 뉴욕 아시아 고미술 갤러리를 통해 덴버미술관이 입수해 소장 중이다. 관계자는 해당 유물의 손상은 “주로 녹색 부분에 집중돼 있었다”고 말했다. “본래 칠했던 천연안료(녹염동광)가 아닌 인공안료(크롬그린)로 덧칠해진 상태였으며 이번 처리 과정에서 인공안료 덧칠을 최대한 제거하고 새로운 (염색) 직물로 메웠다”고 설명했다.

장상민 기자
장상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