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특화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지역소멸 대응

안동=박천학 기자
경북도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2025년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에 김천시가 최종 선정돼 도가 2027년까지 국비 80억 원을 확보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기후위기와 지역소멸 등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특화 솔루션이 집약된 스마트 도시를 조성하는 것이다.
김천시는 총사업비 160억 원을 확보해 김천혁신도시 활성화와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모빌리티 기술산업을 발판으로 어모면, 개령면, 율곡동 일원을 모빌리티 특화 스마트도시로 조성한다.
김천형 MaaS, 자율주행 DRT 도입으로 도심 간 연결을 강화하는 한편, 드론 기반 인공지능(AI) 도시안전관리, 생활물류 배달시스템 등 도시포용 서비스를 도입하고,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센터 조성으로 산업 성장을 이끌 계획이다.
MaaS는 버스, 택시, 자전거, 킥보드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경로 검색부터 예약, 결제까지 통합 제공하는 서비스다. DRT는 이용자 수요에 따라 차량이 노선과 운행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해 운행하는 교통서비스이다.
경북도는 현재 구축 중인 광역 데이터허브와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을 연계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서비스를 발굴·제공하며 스마트도시 플랫폼 활성화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김호진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성과는 경북도와 김천시가 함께 노력한 결과로, 앞으로도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를 구축하고 확산해 지역소멸 위기 대응에 스마트도시가 해법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천학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