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영향예보. 전남도청 제공
폭염 영향예보. 전남도청 제공

고령 농업인 많은 전남도 재난안전도우미 약 5만 명 운영

경남도는 영상관제시스템으로 농어촌 외딴 지역까지 예찰

무안=김대우 기자

기후변화로 폭염이 재난수준으로 확대되면서 올해 들어 발생한 온열질환자가 300명에 육박하자 폭염에 취약한 고령 농업인이 많은 농어촌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을 중심으로 대응책 강화에 나서고 있다.

25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전남도는 지난해 고흥군에서 시행해 큰 호응을 얻었던 드론을 활용한 논밭 순찰 활동을 올해 나주시, 화순군, 영암군으로 확대해 운영한다. 또 마을 이·통장 등으로 구성된 재난안전도우미 약 5만 명을 지정해 폭염기간 마을별로 농업활동 자체와 폭염 예찰 활동을 강화한다.

지난해 기상청과 협업해 시범운영한 ‘폭염 영향예보 직접 전달 서비스’도 전 시군으로 확대했다. 이 서비스는 고령의 부모가 거주하는 지역에 폭염이 주의단계 이상 발령되면 카카오톡을 통해 가족에게 알려주는 서비스다.

경남도도 농업 등 야외 작업이 많은 폭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예찰 활동을 강화했다. 지난달 일선 시군에 폭염대책비 20억 원을 우선 지원해 민간재난도우미를 활용한 현장중심 대응체계를 구축한데 이어 농업인 휴게쉼터와 양산대여소 등을 운영 중이다. 또 드론 영상관제 시스템을 활용해 농어촌 외딴 지역을 실시간 예찰하며 폭염 특보가 발효되면 즉시 현장 조치를 시행한다.

지난해 60∼80대 이상 고령 온열질환자(151명)가 많았던 전북도는 올해 도내 332개대 7760명의 ‘의용소방대 폭염 안전지킴이’를 구성, 운영한다. 폭염안전지킴이는 농촌 지역 등 폭염 취약지역 마을을 직접 찾아가 폭염시 농사일 자제를 비롯한 예방수칙 교육과 무더위 시간대 논밭 예방순찰 활동 등 생활 밀착형 폭염 대응 활동을 펼친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기후변화로 폭염이 일상화 됐다”며 “특히 고령 농업인 등 폭염취약 계층을 위한 맞춤형 대책과 촘촘한 현장관리로 선제적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질병관리청 온열질환응급실감시체계에 따르면 올해 5월 15일부터 지난 23일까지 모두 282명(추정사망자 2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다. 서울이 57명으로 가장 많고 경기 47명, 경북 27명, 경남 25명, 강원 22명 등의 순이다. 질병관리청 분석결과 온열질환자 연령대는 65세 이상 고령층이 전체 27.3%(77명)를 차지했다. 직업군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 15.6%(44명), 농림어업숙련종사자 9.9%(28명) 등의 순이었고, 발생장소는 작업장 24.5%(69명), 길가 22.3%(63명), 논밭 15.6%(44명)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대우 기자
김대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