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무부 “北 완전비핵화 전념”
이재명 정부가 전임 윤석열 정부에서 사실상 차단됐던 민간단체 대북접촉 허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대북 확성기 방송 및 대북단체의 전단 살포 중지에 이어 민간 교류·협력도 조만간 재개할 것으로 보여, ‘적대적 남북 2국가론’을 내세운 북한의 반응이 주목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민간 차원의 대북 소통 채널 복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해 관계기관과 협의를 통해 민간의 북한 주민 접촉신고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인도적 지원 분야 2개 기관, 사회·문화 교류 기관 3곳 등이 수리 통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8월 북한의 수해 후 예외적으로 민간 인도주의 협력단체의 접촉 신고를 수리한 후 처음이다. 이들 단체는 조만간 접촉 승인을 받은 뒤 북측과 교류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경문협)은 지난 4일 통일부에 온라인으로 문화교류를 위한 북한 주민 접촉 신고서를 제출한 후 24일 수리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재단 측 관계자는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으로 경문협 실무진의 북한 접촉 승인을 받았다”고 말했다. 경문협 이사장은 문재인 정부의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다.
한편 태미 브루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24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에서 북한이 배울 게 있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난 다른 나라들이 무엇을 생각하거나, 해야 할지에 대해 추측하지 않겠다”면서도 “북한은 자기들의 핵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으며 우리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고 했다. 외교가에서는 미국이 북한에 친서를 보내는 등 대화 채널 복구에 나서고 있는 점, 중동 사태 해결로 북한을 다룰 외교적 공간이 넓어진 점 등을 감안하면 올해 3번째 미·북 협상이 재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본다.
권승현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