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에 67일간 억류됐다 풀려나…법원 “위법수집 증거”
인천=지건태 기자
서해 최북단 백령도에서 조업 중 납북됐다가 귀환한 뒤 국가보안법 등 위반죄로 처벌받은 어민 4명이 56년 만에 무죄를 선고받았다.
인천지법 형사1단독 이창경 판사는 국가보안법, 반공법, 수산업법 등 위반 혐의로 기소돼 과거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심모(83) 씨 등 4명에게 재심을 거쳐 무죄를 선고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들 4명 중 심 씨만 현재 생존해 있고 1931년∼1934년생인 다른 3명은 이미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심 씨 등은 1967년 10월 12일 인천 옹진군 백령도 인근 해상에서 상어잡이를 한다는 이유로 서해안 어로한계선을 넘어 북한 해역으로 탈출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심 씨는 1969년 2월 법원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과 자격정지 1년을, 나머지 3명은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과 자격정지 1년 6개월을 각각 선고받았다.
그러나 심 씨와 피고인들의 자녀는 지난해 10월 법원의 과거 판결이 잘못됐다고 주장하면서 재심을 청구했다. 앞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는 2023년 심 씨 등과 함께 납북됐던 어민들에 대해 ‘국가는 납북귀환어부와 그 가족에게 사과하고 피해와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형사소송법이 정한 바에 따라 재심 등 화해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결정문을 냈다.
재심 법원은 사건 당시 이들을 포함한 선원 20명이 어선 5척에 나눠타고 조업에 나섰다가 총을 쏘면서 위협하는 북한 경비정에 납치돼 67일간 북한에 억류됐던 것으로 판단했다.
이 판사는 “피고인들의 과거 자백 진술은 수사기관에 불법 구금된 상태에서 이뤄진 것으로 증거 능력이 없다”며 “피고인들을 포함한 선원 20명은 장기간 북한에 억류됐다가 풀려난 상태라 육체·심리적으로 매우 위축된 상태에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당시 검찰 조사를 받은 선원 중 1명은 피의자 신문을 받고 4일 뒤 사망했다”며 “사망자의 자녀는 ‘조사 과정의 폭행으로 온몸이 피멍으로 뒤덮였고 동네 어르신은 왜 온몸에 문신했느냐는 말을 할 정도였다’고 진술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위법 수집된 내용 등을 제외한 증거들로는 피고인들이 고의로 반국가단체의 불법 지배 지역으로 탈출하거나 어로한계선을 넘어 조업했다는 공소사실을 인정할 수 없다”고 무죄 판단 이유를 밝혔다.
지건태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