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재수 후보자, 인사청문 준비 돌입
“부산, 손바닥 보듯이 다 보고 있어
최적의 이전 후보지 고민해 볼 것”
이재명 정부 출범 후 부산으로 부처를 이전하는 현안을 안고 해양수산부에 대해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자는 25일 “부산 이전은 더는 늦출 수 없다”고 밝혔다.
전 후보자는 이날 서울 마포구 인사청문 준비사무실에 첫 출근하며 기자들과 만나 우리나라의 일극 체제를 극복 및 북극항로 선점 등을 위해 해수부를 신속하게 부산으로 이전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올해 12월까지 이행토록 검토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전 후보자는 “대통령께서 두 차례 국무회의에서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말씀했다”며 “때문에 그 일정에 맞춰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 후보자는 이 대통령의 신속한 해수부 이전 지시에 관해 “북극항로를 선점하려면 속도를 내야 하지 않겠느냐는 강력한 의지를 반영한 말 아닌가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해수부 청사 이전 지역이나 부지에 관해서는 “부산을 내 손바닥 보듯이 다 보고 있다”며 “최적의 후보지가 어딘지 좀 더 고민해보겠다”고 밝혔다. 또 “(부처 이전에 관한) 해수부 구성원의 다양한 목소리를 놓치지 않고 열심히 소통하겠다”며 “인천이나 충청, 전남에서 여러 다른 의견이 있는데 의견을 듣고 반영할 수 있는 것은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 후보자는 해양 정책에 관한 해수부의 소관 업무 확대 필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지금 모습 그대로 해수부가 부산으로 옮겨가기보다 해수부의 기능, 역할과 위상을 강화해야 한다”며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선·해양플랜트, 국토교통부의 항만 배후 인프라 개발, 행정안전부의 섬 관련 사무를 해수부가 맡도록 부처 간 협의할 필요가 있다고 거론했다. 특히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산업부에서 조선·해양플랜트 사무를 해수부로 가져오는 건 정부 조직을 개편하는 법률 개정 사항이 아니다”며 “조선과 해운은 한 몸인데 지금 조선 산업은 산업부에 있고 해운은 해수부에 있다. 북극항로 개척을 선도하려면 해양과 산업 정책이 한 몸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전 후보자는 국내 최대 해운선사인 HMM 본사의 부산 이전에 대해서는 “HMM 구성원의 의견을 다양하게 들어야 한다”면서도 “(부산을) 북극항로 시대 전략 기지 거점으로 만들어 집적화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행정 기능을 총괄하는 해수부, 사법 기능 총괄하는 해사전문법원, 경쟁력 있는 해운선사, 여기에 투자할 수 있는 금융기관이 집적화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산업은행 등 정부 관련 HMM 지분 매각 문제에 대해서는 “해수부가 전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채권단과 잘 협의하겠다”며 “다만 (협의는) 대한민국 해양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 지역 국회의원이지만 ‘해양·수산 분야에 대한 전문성 부족’ 지적도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전 후보자는 “전적으로 맞는 말”이라며 “더 열심히 공부하고 많은 분과 만나 조언을 듣겠다”고 밝혔다. 이어 “나는 고향이 부산”이라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경험은 없지만 부산 지역 국회의원이다 보니 관심 가질 수밖에 없던 것이 해양수산 분야”라고 덧붙였다.
박준희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