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차 과제 수행기관 선정

서울대 등 에기평과 협약 체결

정부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대규모 인재 양성에 나섰다. 에너지융합대학원, 에너지기술공유대학 등에 총 700억 원 이상을 투입해 1000여 명의 에너지 기술 고급 인력을 배출한다는 계획이다.

30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2050 탄소중립’ 실현에 필수적인 에너지기술 융·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2025년 에너지인력양성사업’ 1차 신규과제 수행기관(대학 등)을 선정했다.

이번 신규과제는 에너지융합대학원 4개, 에너지기술공유대학 2개, 선순환 체계 구축 1개 등 총 7개 과제로 확정됐다. 서울대 등 선정 수행기관들은 전담기관인 에기평과 협약체결을 완료했다. 정부는 해당 과제에 2030년까지 약 470억 원을 지원할 계획으로 이를 통해 에너지기술 분야 석·박사급 융합인재가 약 700여 명 배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에너지융합대학원으로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자원순환 분야 △저탄소 정유공정 분야 △차세대 전력시장 분야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활용 분야 등에 서울대·성균관대·건국대·강원대가 각각 선정됐다. 선정된 대학들은 대학원 내에 학과(전공) 개설, 기술융합 교육과정 신설 등에 착수할 예정이다.

한편 경쟁형과제인 에너지기술혁신연구센터로는 2025년 1단계 선정에서 4개 분야 6개 과제를 선정하고 단계평가를 통해 2026년에 4개 과제를 최종 확정한다. 해당 과제에는 246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에너지기술 분야 최정상급 인재가 약 300명 배출될 예정이다.

조익노(사진) 산업부 에너지정책관은 “에너지 산업현장의 인력 수요와 기술 발전 속도에 유기적으로 대응하고 에너지기술 혁신과 인재양성이 선순환되는 구조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에기평 관계자는 “2025년 에너지인력양성사업 2차 신규과제를 6월 말부터 공고해 신청·접수 받고 있다”며 “오는 10월부터 40명 이상의 석·박사급 인력을 해외 기관에 파견하는 사업도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준희 기자
박준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