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 취임 30일 회견 - 사회·민생

 

“검찰 잘아는 사람이 개혁에 유용

검찰로서는 일종의 자업자득

사법개혁, 중요한 현실적 과제”

 

‘경찰 비대화’ 부작용 우려도

질문 기다리는 李

질문 기다리는 李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기자 1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대통령선거 기간 핵심공약이었던 ‘검찰개혁’에 대해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한다는 점은 이견이 없다”며 오는 9월까지 수사와 기소 권한이 분리된 검찰의 대략적 형태를 구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3일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기소를 위해 수사하는 나쁜 사례”를 언급하며 “우리가 그 문제 해결을 위해 논의하는 긴 시간 동안 더 악화했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지금은 검사에게서 수사권을 분리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 반대여론이 별로 많지 않은 듯하다”며 이를 두고 “일종의 자업자득”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검찰개혁을 포함한 사법개혁은 매우 중요한 현실적 과제”라며 “10명의 범인을 놓치더라도 한 명의 억울한 사람을 만들면 안 된다”는 법언을 인용했다. 또 “누가 사적인 목적을 갖고 사람을 잡아넣고 목숨을 빼앗는 것은 나쁜 짓이다. 이론의 여지가 없는 절대 용서할 수 없는 나쁜 짓”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법조계에서는 이 대통령이 윤석열 정부 내내 수사를 받아온 것을 지적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대장동·백현동 개발비리와 성남FC 불법후원금 의혹, 쌍방울 그룹 불법 대북송금 의혹 등으로 수사를 받고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었다.

검찰이 수사를 하지 못할 경우 수사에 대한 경찰의 권한이 비대해질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이 대통령은 “경찰 비대화 문제라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권력은 집중되면 남용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고 견제해야 하는데, 자치경찰제도와도 관련이 있다”며 향후 경찰 수사권에 대해서도 제도를 개선할 의지를 보였다.

검찰의 수사·기소 분리 시점에 대해 이 대통령은 “추석 전에 하자고 당대표 후보들부터 열심히 말하고 있다”며 “그때까지 제도 자체의 얼개를 만드는 것은 가능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의 설명대로면 9월 하반기까지 검찰의 수사는 최근 제기된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 등 신규 조직으로 넘기고, 현 검찰 조직을 ‘기소청’(공소청) 으로 개편하는 방식이 가시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대통령은 “완벽한 제도가 정착되기까지는 한참 걸리겠지만, 국회가 결단하기 나름”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회가 입법적 결단을 할 사안이기 때문에, 우리 정부에서 할 일은 그로 인한 갈등,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검찰 관련 인사 진행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대통령실 안에도 검찰을 잘 이해하는 사람이 (검찰개혁을 수행하는 데) 유용성이 있겠다”고 밝혔다. 이는 ‘검찰 출신’ 인 봉욱 대통령실 민정수석을 암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봉 수석 임명과 자신의 측근으로 꼽히는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지명해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 대통령은 “법무부 장관을 보좌할 법무부 차관과 실제 현장에서 검찰 사무를 지휘할 주요 검사장들의 문제는 남아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사법권력은 국가의 법질서를 유지하는 최후의 보루”라며 “우리 모든 국민들은 싸우다가 법대로 하자 한다. 마지막 믿음이다”고 법질서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또 “법이 가진 사람, 특정 목적에 의해 악용되면 우리 국민은 어디에 기대야 하나”고 반문한 이 대통령은 “(법이 악용되면) 사회가 무너진다. 사법개혁은 중요한 과제”라고 밝혔다.

정선형 기자
정선형

기사 추천

  • 추천해요 1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2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