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가 일명 ‘러브버그’라 불리는 붉은등우단털파리의 대량 발생으로 극심한 주민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인천 계양산에서 방제작업을 펼친다. 러브버그는 중국 남부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외래종으로, 2015년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후 2022년을 기점으로 매년 6월부터 7월까지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량 발생하고 있다.
환경부는 본부와 소속기관 직원 37명을 투입해 10여 명의 계양구청 방제 인력과 함께 현장에서 송풍기, 포충망, 살수 장비 등을 활용한 방제작업을 펼친다고 4일 밝혔다. 현장에 방치된 러브버그 사체가 악취를 발생시켜 주민 불편을 야기하는 점을 고려해 대대적인 수거 작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러브버그가 빛에 유인된다는 습성에 착안해 개발된 ‘광원 포집 장비’ 3기도 현장에 추가 설치한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2일 현장 테스트 과정 중인 광원 포집 장비 4기를 계양산에 긴급 설치했으며, 운영 결과 러브버그 유인 및 포집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한편 환경부는 향후 곤충 대발생에 대비해 지자체와 연계한 대응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러브버그 외에도 대벌레, 동양하루살이, 미국선녀벌레, 깔따구 등은 7월 이후에도 대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지난해부터 운영 중인 ‘환경부-서울시-국립생물자원관 협업 체계’에 인천시, 경기도 및 관련 기초자치단체를 포함하고, 필요시 인접 지자체까지 포괄하는 협의체를 가동할 계획이다.
장병철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1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