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는 자신의 90세 생일을 앞두고 “130세 넘게 살고 싶다”는 희망을 밝혔다. 자신이 죽은 뒤 후계자 지명 과정에서 중국 정부 개입해선 안된다는 점도 강조했다.
5일 AP와 AFP 통신 등에 따르면 달라이 라마는 이날 자신의 90세 생일을 하루 앞두고 인도 북부 다람살라에서 티베트 불교 신자 수천 명이 모인 가운데 열린 장수기원 법회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달라이 라마는 “이제껏 부처님의 가르침과 티베트 중생을 위해 나름대로 열심히 해왔다고 생각한다”며 “자비의 보살님 보호 아래 앞으로 30~40년 이상 더 살았으면 한다“고 기대감을 표했다.
달라이 라마는 1959년 중국 병합 반대 봉기가 진압된 후 인도로 망명한 뒤 다람살라에 망명정부를 세우고 비폭력 독립운동을 이끌고 있다.
달라이 라마는 “우리는 조국을 잃고 인도에서 망명 중이지만, 중생들에게 많은 이로움을 줄 수 있었다”며 “그래서 나는 다람살라에 머물며 중생들과 내가 할 수 있는 만큼 계속 봉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티베트 독립운동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가 90세의 고령에 접어들면서 그의 후계 문제도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티베트 불교는 달라이 라마가 사망하면 그의 영혼이 어린아이의 몸으로 환생한다고 믿는다. 지금의 14대 달라이 라마도 2세 때 전임 달라이 라마의 환생자로 지명됐다.
이번 발언은 달라이 라마가 지난 2일 후계자 문제와 관련해 환생할 계획이라고 선언하고 중국 당국이 거세게 반발한 직후에 나온 것이어서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그는 지난 수십 년간 중국공산당의 통치 아래 티베트의 자치 확대를 위해 노력하며 전 세계 티베트인들을 하나로 모으는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달라이 라마는 차기 달라이 라마는 티베트 불교 전통에 따라 찾고 인정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차기 달라이 라마가 중국이 아닌 “자유세계”에서 태어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중국 정부는 이런 달라이 라마를 분리주의자로 간주하면서 그의 후계자 승인 권한은 오직 중국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 중국은 중앙의 승인을 받지 않은 인물을 달라이 라마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매체는 달라이 라마의 발언이 중국의 환생 개입 시도를 견제하기 위한 의도가 있다며 중국이 환생 과정에 간섭해서는 안 된다는 신호를 보냈다고 분석했다.
곽선미 기자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1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