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기획·고정물

S010102465 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28 | 생성일 2023-09-07 09:07
  • 철심 쌓기 등 변압기 공정 ‘정밀 수작업’… ‘손기술’로 만드는 초일류[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철심 쌓기 등 변압기 공정 ‘정밀 수작업’… ‘손기술’로 만드는 초일류

    ■ 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 (18) LS일렉트릭 “기계론 세밀한 작업 어려워” 초고압 변압기‘핸드 메이드’ 10만8436㎡ 부산 사업장은 연간 생산액 6000억원 달해 올해 북미 수출만 2000억원 “수요 많아 2년치 주문 꽉 차” 부산 = 글·사진 이예린 기자 yrl@munhwa.com 지난 11일 부산 강서구 LS일렉트릭 사업장. ‘초고압 변압기’동에선 가공된 철심(코어)을 층층이 쌓는 철심반 작업자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었다. 이들은 초고압 변압기를 만들기 위해 0.2∼0.3㎜ 두께의 얇은 규소 강판을 쌓는 중이었다. 이렇게 얇

    이예린 기자 | 2023-12-21 08:59
  • 원유를 직접 케미칼 전환하는 ‘저탄소 TC2C’… ‘신기술’로 다가서는 넷제로[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원유를 직접 케미칼 전환하는 ‘저탄소 TC2C’… ‘신기술’로 다가서는 넷제로

    ■ 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 (19) 에쓰오일 “샤힌 프로젝트 기술력 제고” 마곡에 첨단 R&D센터 준공 친환경 신에너지 역량 강화 연료유 중심 사업 다각화도 2050년 넷제로 달성 목표로 수소산업 진출 등 ESG 경영 에쓰오일이 지난달 서울 강서구 마곡산업단지에 미래 성장을 위한 기술개발(TS&D)센터를 준공하고, 현재 울산에 건설 중인 샤힌(아랍어로 ‘매’라는 뜻) 프로젝트에 적용할 석유화학 선도 기술을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TS&D센터는 특히 샤힌 프로젝트가 완공되는 오는 2026년 이후 양산되는 올레핀(원유 정제 과정에서 생산되는 불포화 탄화수소) 다운스트림(기초 석유화학 재료를 이용해 합성수지 등을 제조하는 공정) 분야에서 신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신에너지 기술개발 산실 될 TS&D센터 = 21일 에쓰오일에 따르면, 이번에 새로 구축한 에쓰오일 TS&D센터는 총사업비 1444억 원(1단계 383억 원, 2단계 1061억 원)을 들여 지하 2층∼지상 4층, 연면적 3만6700㎡ 규모의 기술개발 연구동으로 지어졌다. 안와르 알 히즈아지 에쓰오일 CEO는 “전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와 고?

    김성훈 기자 | 2023-12-21 08:59
  • 로봇이 전용 엘리베이터 타고 사무실로 커피배달… 최첨단 미래 빌딩[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로봇이 전용 엘리베이터 타고 사무실로 커피배달… 최첨단 미래 빌딩

    ■ 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 (17) 네이버 본사, 세계 첫 로봇전용 빌딩 앱으로 배송 지점 입력하면 최적의 루트 계산해 찾아와 UAE 등 65국 3500명 견학 사우디 1350억원 기술 계약 세종엔 초대규모 데이터센터 서버 운송 등 3종 로봇 활동 기술 융합의 테스트베드로 성남=임대환 기자 hwan91@munhwa.com 축구장 절반만 한 넓은 1층 로비에는 사람들이 그리 많지 않았다. 로비는 회색 계열의 무채색 페인트로 차가운 인상을 줬지만, 로비 한가운데 놓인 소파는 편안하고 세련된 디자인이었다. 마치 과학소설(SF) 영화에

    임대환 기자 | 2023-12-14 08:56
  • 한국어 특화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 금융·게임·교육산업 ‘두뇌’로[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한국어 특화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 금융·게임·교육산업 ‘두뇌’로

    ■ 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 (17) 네이버 네이버 1조 투자해 만든 기술 문답 이어지는 ‘멀티턴 대화’ 네이버1784 및 세종시 데이터센터 건물에서 활동하는 로봇들이 네이버의 ‘운동적 기술’ 역량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하이퍼클로바X’는 네이버의 ‘두뇌 기술’ 역량을 응축한 대표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네이버가 1조 원을 투자해 내놓은 하이퍼클로바X는 초대규모 인공지능(AI)으로, 2021년 5월 국내 최초이자 전 세계에서 3번째로 발표했던 초대규모 AI인 ‘하이퍼클로바’를 고도화한 모델이다. 한국어와 영어를 학습한 복수 언어 모델이며, 프

    임대환 기자 | 2023-12-14 08:53
  • 전동화 제설장비·무인 잔디깎이… 미래형 중장비의 ‘교과서’[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전동화 제설장비·무인 잔디깎이… 미래형 중장비의 ‘교과서’

    ■ 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 (15) 두산 367억 투자 ‘액셀러레이션센터’ 북미 건설기계 R&D 거점 확보 3251㎡ 실내시험장서 장비개발 친환경 중장비분야로 사업 확장 유압시스템에 전동화기술 적용 유지비 낮고 오염물질 배출 없어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노스다코타주 비즈마크에 위치한 두산밥캣의 액셀러레이션센터(Acceleration Center) 실내 장비 시험장. 직원들이 각종 소형 건설 장비와 무인 장비를 테스트하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두산밥캣은 앞서 2014년 북미 소형 건설기계 사업의 연구·개발(R&D) 거점 확보를 위해 이 지

    장병철 기자 | 2023-12-07 09:05
  • 장학금 지원·채용연계 혜택… ‘새싹 개발자’ 돕는 키다리 아저씨[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장학금 지원·채용연계 혜택… ‘새싹 개발자’ 돕는 키다리 아저씨

    ■ 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 (16) 카카오 카카오 고유의 시스템 녹여낸 개발자 양성 프로그램 ‘카테캠’ 부산대·전남대학생 111명 수료 내년 총 5개학교 대상 운영계획 비수도권 학생에 성장기회 제공 안드로이드 개발자 과정도 추가 “‘회고’(개발자들의 업무 일지를 뜻하는 은어)를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플랫폼 프로토타입(시안)을 만들었습니다.” 부산대 정보컴퓨터공학부 4학년생 조준서(24) 씨는 지난달 17일 부산대 언어교육원 대강당에서 열린 개발자 양성 교육 프로그램 ‘카카오 테크 캠퍼스’(카테캠) 첫 수료식에서 ‘틸리’(TIL

    이예린 기자 | 2023-12-07 09:05
  • ‘비건 고기’도 맛있게… 친환경 ‘미래 먹거리’ 식물성 대안육 선도[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비건 고기’도 맛있게… 친환경 ‘미래 먹거리’ 식물성 대안육 선도

    ■ 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 (13) 신세계 플래그십 레스토랑 ‘유아왓유잇’ 하루 300여명 찾을 정도로 인기 집에서 먹는 냉동간편식도 선봬 작년 7월 미국에 자회사 설립·투자 선진기술 도입·생산인프라 확대 지난 8일 수요일 오후 1시 30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스타필드 코엑스몰 지하 1층 레스토랑 ‘유아왓유잇(You are What you Eat)’. 내부는 피크타임이 지났는데도 만석이었다. 신세계그룹의 종합 식품 계열사인 신세계푸드가 식물성 대안육(대체육) 요리를 소비자들에게 선보이기 위해 지난달 말 문을 연 이 레스토랑은 한 달 만에 누적 방문객이 1만 명을 넘어서며 인기를 끌고 있다. 기자가 방문한 날에도 대기 줄과 함께 99㎡(약 30평) 정도의 홀 내부 42개 좌석이 계속 채워져 나갔다. 레스토랑 관계자는 “20∼30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하루 평균 300여 명의 고객이 찾는다”며 “외국인의 비중이 20∼30% 정도”라고 말했다. ‘유아왓유잇’은 ‘당신이 먹는 것이 곧 당신이다’라는 뜻으로 ‘더 나은 나 자신과 지구를 위한 맛있는 식물성 대안식’을 콘셉트로 하는 브랜드다. 이 레스토랑에서 만드는 메뉴는 주재?

    김만용 기자 | 2023-11-30 09:09
  • “일본에서 주문한 미국상품, 인천서 배송”… ‘국경초월 택배’ 20분내 준비 끝[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일본에서 주문한 미국상품, 인천서 배송”… ‘국경초월 택배’ 20분내 준비 끝

    ■ 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 (14) CJ 아시아 최대 물류센터 인천 GDC TES물류기술연구소 역량 바탕 AI·로봇 활용한 첨단기술 구축 해외 e커머스 배송비·시간 단축 사우디 GDC에 운영 노하우 전수 “단 20분이면 일본 현지 고객이 미국 쇼핑몰에서 주문한 상품의 배송 준비를 마칠 수 있습니다.” 지난 8일 인천국제공항 자유무역지대에 있는 CJ대한통운 글로벌 물류센터(GDC). 6264㎡(약 1895평) 규모의 공간에 마련된 거대한 큐브 모습의 최첨단 물류 시스템 ‘오토스토어(Auto-Store)’에서는 사람 대신 로봇들이 분주하게

    김호준 기자 | 2023-11-30 09:07
  • ‘AI 통화비서’가 고객 맞춤응대 척척 … 글로벌 무대까지 노크[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AI 통화비서’가 고객 맞춤응대 척척 … 글로벌 무대까지 노크

    ■ 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 (12) KT 자체 초거대 AI ‘믿음’ 기반 음성인식·대화엔진 등 장착 AI비서는 단순응대 등 맡고 상담사는 섬세한‘고객 케어’ 고객센터 업무 효율 최적화 MWC 무대서 기술력 선봬 “KT의 인공지능컨택센터(AICC)는 외부 솔루션을 사용한 것이 아닙니다. 인공지능(AI) 스피커나 AI 연구소 등 개발 역량과 자체 개발 솔루션을 활용해 구축했습니다. 오픈AI의 챗GPT와 비교해 테스트해본 결과 KT의 초거대 AI ‘믿음’이 자체 개발 AI이다 보니 우리 요구를 반영하는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측면뿐

    이승주 기자 | 2023-11-23 09:06
  • 건설현장 ‘무인 자동화’기술로 세계 선도… “해발 5000m서도 작업”[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건설현장 ‘무인 자동화’기술로 세계 선도… “해발 5000m서도 작업”

    ■ 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 (11) HD현대 종합 관제 솔루션 ‘콘셉트-X2’ 올 美 ‘콘엑스포’서 완벽 시연 전작보다 땅 파기 13% 빨라져 전문가 부족·안전 문제 해결책 건설기계-인프라코어 기술융합 2년뒤 핵심부품 통합모델 개발 수소연료 장비 등 친환경 전환 2040년까지 판매비중 95%로 HD현대 건설기계 부문(HD현대사이트솔루션·HD현대건설기계·HD현대인프라코어)이 무인 자동화 기술개발과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바탕으로 하드웨어 제조 기업을 넘어 솔루션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미래 건설기계 시장의 거시적인 환경변화에 발

    이근홍 기자 | 2023-11-16 09:14
  • 항공기 운항 버금가는 정비… ‘아시아나 결합’ 땐 글로벌 경쟁력 극대화[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항공기 운항 버금가는 정비… ‘아시아나 결합’ 땐 글로벌 경쟁력 극대화

    ■ 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 (10) 대한항공 1만3000개 부품 검사·재조립 중정비 마치면 성능 완벽해져 새로운 엔진으로 다시 태어나 10월부터 P&W社 차세대 엔진 ‘기어드 터보 팬’ MRO도 시작 매년 100대이상 정비수주 전망 통합 땐 해외 의존도 낮아지고 외화유출 방지·고용 안정 효과 대한항공이 세계 여러 항공사와 초격차를 나타내는 분야 중 하나가 항공기 건강 관리, 즉 유지·보수를 의미하는 RO(Maintenance·Repair·Overhaul)다. 항공기 사양이 고도화하면서 항공기 점검과 보수에 대한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커지고 있다. 수만 개 이상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항공기의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려면 끊임없는 점검과 보수를 통해 ‘건강한’ 상태를 반드시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대한항공이 보유 MRO를 항공기 확보와 운항에 버금가는 핵심 경쟁력으로 보고, 발전시켜나가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현재 진행 중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 결합이 이뤄지면 가장 큰 시너지가 기대되는 사업 분야도 바로 MRO다.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 해외 정비 수주 등 글로벌 시장에서 앞선 경쟁력을 보유할 것으로 대한항공은

    김영주 기자 | 2023-11-09 08:57
  • 폐식용유 등 활용해 만든 ‘바이오 항공유’… 탄소배출 최대 80%까지 감축[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폐식용유 등 활용해 만든 ‘바이오 항공유’… 탄소배출 최대 80%까지 감축

    ■ 초격차 기술, 현장을 가다 - (9) ‘그린 전환’ 속도내는 GS칼텍스 ‘하늘위 저탄소’ 바이오유 실증시험 최초 진행 선박유·케미칼까지 ‘토털 밸류체인’ 구축 수소·탄소포집 등 신사업 모델 확대 GS칼텍스가 에너지 전환 시대에 대응해 기존 사업에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동시에 저탄소 신사업도 본격화하는 ‘그린 전환(Green Transformation)’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저탄소 정유·석유화학 기업(Lower Carbon Refinery)’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는 판단 아래, 화이트 바이오(기존 석유화학제품을 바이오 기반 소재로 대체) 사업, 수소

    김성훈 기자 | 2023-11-02 09:23

    작성된 기사가 없습니다.